분류 전체보기 (197) 썸네일형 리스트형 Properties 클래스 Properties 클래스 Hashtable의 하위 클래스 Map의 속성을 갖는다 -> Key, Value를 갖는다 -> Key = Value 형태로 파일 입출력 지원 파일이름.properties / xml 파일 DB 연결 정보를 저장해두는 용도 속성 값들을 읽어준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FileReader / FileInputStream 생성 시에 파일을 직접 여는 클래스가 아니므로 저 객체들이 필요 load() 메서드의 이름 그대로 파일의 내용을 읽어서 Key, Value 형태로 분류해서 맵에 보관 keySet() 저장된 모든 키 Set을 반환 getProperty() key 값을 제공하면 value 값을 반환 AOP - Around를 적용한 예제 일단, AOP의 장점에 대해 한 번 더 짚고 넘어가자. 예를 들어, 입금, 출금, 이체 기능이 있다. 세 기능에는 '인증'이라는 공통 기능이 들어가야한다. 원래 알던 방법대로라면 인증이라는 메서드 하나를 구현해서 그 메서드를 가져다가 쓰는 방식이었을 것이다. 혹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던가. 하지만, 그렇게 할 경우, 기능의 변경이 있어서 메서드명을 변경해야할 때 각각 클래스로 다 찾아가서 이름을 다 바꿔줘야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막기 위해 기존의 클래스에는 아무것도 건드리지 않고, 인증 기능 클래스 하나만을 구현해서 그 기능을 여기저기에서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해주는 것. 적용이 필요한 메서드 명을 새로 만든 기능 클래스 안의 execution 안에 기입해주는 것으로 해결. 그것이 AOP다. AOP라고.. AOP 적용 - After, Around, Afterreturning, Afterthrowing Advice - After 시점에 적용한 예를 살펴보자. 1. POJO 클래스 + XML을 이용한 AOP 설정 2. 어노테이션을 이용한 AOP 설정 이번에는 중복된 표현식이 계속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인트컷 지시자를 미리 설정해보자. 1. POJO 클래스 + XML을 이용한 AOP 설정 2. 어노테이션을 이용한 AOP 설정 이번에는 중복을 제거한 로직을 바탕으로, 나머지 Around, Afterreturning, Afterthrowing도 적용해보자. 1. POJO 클래스 + XML을 이용한 AOP 설정 2. 어노테이션을 이용한 AOP 설정 메이븐 라이브러리 에러 라이브러리의 문제라고 하는데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다! 일단 이클립스에서 메이븐 업데이트를 해보자. 그래도 안되면 시스템 폴더의 .m2 경로의 라이브러리를 다 지우고 이클립스로가서 다시 메이븐 업데이트하면 됨 /Users/dabin/.m2/repository 자체를 모두 삭제 -> 이클립스 -> Maven -> Update Project AOP 개념 및 적용 - Before 절차지향, 객체지향과 같은 새로운 방법이 아니라 객체지향을 응용하는 관점 즉, 관점지향 = 객체지향 + 응용 관점지향은 프록시 패턴을 바탕으로 한다. 프록시 패턴이란? 어떤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용도로 대리인이나 대변인에 해당하는 객체를 제공하는 패턴 일단, AOP를 어떤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자. 다음과 같이, 소년과 소녀는 전반적으로 똑같은 일을 하지만, 게임을 하고 요리를 하는 것처럼 핵심 기능이 다르다. 중복된 횡단 코드 줄여줘야할 필요성이 있다. 하나의 메서드를 만들어서 중복된 코드를 몰아 넣고, 각각 소년 소녀 클래스에서 불러서 쓴다면 해결이 가능하다. 하지만, 그 메서드의 기능이 변경되면 혹은 메서드명이 변경되면 각각 클래스로 가서 다~~바꿔줘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래서.. 컬럼 데이터 타입 및 길이 변경 ALTER TABLE 테이블명 MODIFY (컬럼명 테이터타입(데이터길이)); 예시) ALTER TABLE MEMBERS MODIFY (NAME VARCHAR2(20)); [Oracle] 시퀀스 설정 테이블을 만들고 나서, 시퀀스 생성 create sequence "MEMBER_SEQ" // 시퀀스명 : 보통 테이블명_SEQ start with 1 increment by 1 maxvalue 99999 // 1~99999까지. 1씩 증가 nocache nocycle noorder; - START WITH : 시퀀스의 시작 값 - INCREMENT BY : 시퀀스의 증가 값 - MAXVALUE : 시퀀스 최대값 - MINVALUE : 시퀀스 최소값 - CYCLE | NOCYCLE : 최대값 도달시 순환 여부 - CACHE | NOCACHE : CACHE 여부, 원하는 숫자만큼 미리 만들어 Shared Pool의 Library Cache에 상주시킨다. - NOORDER : 병렬 서버가 아닌 경우에는 옵션과.. 오라클 데이터 타입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내가 자주 쓰는 것만 정리해두었다. 문자 데이터 타입 CHAR(n) 고정 길이 문자 / 최대 2000byte VARCHAR2(n) 가변 길이 문자 / 최대 4000byte * mysql에서는 VARCHAR로 사용하였다. 둘의 다른 점은 크게 없고, 단지 오라클에서 VARCHAR 대신에 자기들이 만든 VARCHAR2를 쓰라고 강요?한 것 뿐.. * 데이터 저장 시 영어는 1byte지만 한글은 2byte 라는 것을 신경써서 할당하자. 숫자형 데이터 타입 NUMBER(P,S) 가변숫자 / P(1~38 디폴트:38) / S(-84~127 디폴트:0) / 최대 22byte * NUMBER는 가변 숫자이므로 P와 S를 따로 입력하지 않으면 저장 데이터의 크기에 맞게 자동으로 조절 P : 소수점..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