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97)
docker 컨테이너 이미지 커밋 / 백업 / 복원 도커에 백업에 앞서 먼저 용어를 정리하자. '이미지 - 압축 / 컨테이너 - 압축을 푼 것' 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1. docker commit - 현재 상태 저장하기. 컨테이너 이미지화. // 전체 이미지 검색: 해당하는 CONTAINER ID, NAMES 확인 docker ps -a // 커밋. []는 빼고 입력 docker commit -p [CONTAINER ID] [NAMES] // 실행 docker ps -a docker commit -p 6972fa793414 oracle11g-test 2. docker save - 커밋한 상태 백업하기 // 저장할 이름은 자유롭게, 이미지 이름은 NAMES와 동일하게 docker save -o [저장할 이름].tar [이미지 이름] // 실행 docke..
Tomcat War 파일로 배포하기 1. 이클립스에서 export - war 파일 내보내기 ROOT.war로 설정한 것은 현재 프로젝트의 cotext root가 '/'로 설정되어있기 때문 (위에 경고 문구는 무시) 2. ROOT.war 파일을 톰캣 폴더에 넣어주기 /usr/local/Cellar/tomcat/9.0.37/libexec/webapps * 기존에 ROOT 폴더가 존재하므로, 이를 ROOT_backup 등 다른 폴더명으로 변경해야함! 3. 터미널에서 톰캣 실행 톰캣을 실행하면 ROOT.war 파일이 폴더로 풀리면서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1) 톰캣 서버에서 실행하기 cd /usr/local/Cellar/tomcat/9.0.37/libexec/bin ./startup.sh 2) 톰캣 서버에서 종료하기 cd /usr/loca..
java.sql.SQLException: 로케일을 인식할 수 없습니다. 맥북 소프트웨어 업데이트하고 이클립스 돌리면 위와 같은 에러가 뜬다. 그럴땐 설정에서 지역을 미국으로 바꿨다가 다시 한국으로 돌리면 정상적으로 돌아가는 것을 알 수 있다!
Homebrew(홈브류) macOS는 유닉스 시스템 기반의 운영체제 운영체제에 내장된 터미널에는 배시 셸(Bash Shell) 명령어를 사용 홈브류는 "터미널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맥 OS용 패키지 관리 애플리케이션"
GIT에 이클립스 프로젝트 업로드하기 1. git version git 버전 확인 2. git config --global user.name "dblee0128" 초기 설정으로 git 아이디를 입력 3. git config --global user.email "dblee0128@gmail.com" 초기 설정으로 git 이메일을 입력 4. cd /Users/dabin/java_workspace 올리고자하는 프로젝트가 있는 폴더로 이동 5. git init 이동한 디렉토리를 로컬 git 저장소라고 알려줌 6. git add . (띄어쓰기 주의) 이동한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업로드 단, 수정할 경우에는 수정한 부분만 변경하여 업로드됨 특정 파일만 올리고 싶다면 git add 파일이름 7. git commit -m "first commit" 따옴..
REST API란? REST란? HTTP URI를 통해 자원을 명시하고, HTTP Method를 통해 해당 자원에 대한 CRUD를 적용하는 것 웹에 존재하는 모든 자원 (이미지, 동영상, DB..)에 고유한 URI를 부여해 활용하는 것 HTTP 통신에서 어떤 자원에 대한 CRUD 요청을 Resource와 Method로 표현하여 특정한 형태로 전달하는 방식 어떤 자원에 대해 CRUD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URI로 요청을 보내는 것 Create - post Read - get Update - put(전체 수정), patch(일부 수정) Delete - delete REST 구성 요소 1. 자원 (Resource): URI - 모든 자원에 고유한 ID가 존재하고, 이 자원은 Server에 의존한다. 2. 행위 (Verb): HT..
테이블 컬럼 데이터 타입 변경 -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테이블에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바로 컬럼을 변경할 수 없다. 아래 예시는 TBL_BOARD에 있는 SELL 컬럼의 데이터 타입을 NUMBER -> VARCHAR2로 변경하는 예시이다. 1. 새로운 임시 테이블(TBL_TMP)을 생성하여 변경하고자 하는 테이블(TBL_BOARD)을 복사 CREATE TABLE TBL_TMP AS SELECT * FROM TBL_BOARD; 2. 기존 테이블(TBL_BOARD)의 데이터 삭제 DELETE TBL_BOARD; COMMIT; 3.기존 테이블(TBL_BOARD)의 컬럼 데이터 타입 변경 ALTER TABLE TBL_BOARD MODIFY (SELL VARCHAR2(20)); 4. 임시 테이블(TBL_TMP)의 데이터를 가져와 기존 테이블(TBL_BOARD)에 다..
@Param 어노테이션 언제 쓰는지? Mybatis의 SQL 문장에 다수의 파라미터를 전달할 때는 전달되는 변수들에 꼭 @Param 어노테이션을 붙여줘야한다. 다음과 같이 email, password 두 가지를 전달해야할 경우, delete from tbl_member where email = #{email} and password = #{password} 아래와 같이 mapper 인터페이스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변수명 앞에 @Param 어노테이션을 추가해야한다. public void deleteMember(@Param("email") String email, @Param("password") String password); ** 만약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 커맨드 객체일 경우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public List getListPagin..